Vin이 양일 떄에는 D1과 D2 모두 켜지고 전압 강하가 없으므로 출력은 그냥 0이다. Vin이 음일 때에는 두 다이오드 모두 꺼지므로 반전증폭기로 작동하는데, 증폭률은 두 저항 크기가 같으므로 1이다.
플립플롭=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로 봐도 무방할 것이다.
R1이 0이라면 OPAMP의 – 입력은 무조건 0이 될 것이니 아니다. R2는 0이 되어야 virtual ground된 OPAMP의 – 입력이 그대로 출력으로 전달될 것이다.
I(t)=C dVc(t)/dt이고, R에 걸리는 전압은 따라서 RC dVc(t)/dt이다. Vin(t)는 R과 C 각각의 전압의 합이므로 Vin(t)= RC dVc(t)/dt + Vc(t)
그냥 계산하자. 공식이 있는지도 모르겠고 있다해도 내겐 외우는 게 더 힘들다.
항복 영역에서 저항은 작을 것이다.
넘어가겠다.
답은 1번이다. 별도 글에서 설명했듯이 2번은 절대 아니다.
Add와 Sub가 있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다.
중첩으로 생각하면 된다.
전류의 정의는 알자.
C4는 바이패스 커패시터이므로 계산에선 제껴도 좋을 것이다. 발진기 식은 그냥 외우는 게 나을 것 같다.
넘어가겠다.
커패시터가 네거티브 피드백에 끼어있으므로 적분될 것 같다. 주파수는 잘 모르겠다. 다만 https://www.basic4mcu.com/bbs/board.php?bo_table=k9&wr_id=4&page=2 을 보고 대충 대입하니 250이 나오긴 한다. 자세한 설명은 추후 동영상으로 만들어야겠다.